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프리랜서 · 자영업자를 위한 재무 전략 – 수입이 불규칙해도 자산은 안정되게

by 보이지않는가치 2025. 5. 18.

 

1. 수입이 불규칙할수록 '시스템'이 필요하다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는 급여처럼 정기적인 수입이 없습니다. 어떤 달은 500만 원을 벌고, 어떤 달은 50만 원도 못 버는 경우도 있죠. 이런 환경에서는 '감으로 돈을 쓰면 절대 자산을 만들 수 없습니다'. 따라서 수입이 들쭉날쭉할수록 고정 지출 관리 + 수입의 자동 분배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2. 수입의 분류와 분배

수입이 들어올 때마다 다음과 같은 비율로 나누는 것이 핵심입니다.

  • 60% 생활비 계좌로 이동
  • 20% 세금/부가세 적립 계좌
  • 10% 투자 계좌(ETF, 적립식펀드)
  • 10% 비상금 or 미래 소비 항목(여행, 자기계발)

특히 세금 계좌는 반드시 별도 관리해야 합니다. 부가세, 종합소득세가 몰려오면 당황하지 않도록 매출의 최소 15~20%는 따로 적립해두세요.

 

3. 고정 지출은 월급처럼 설계

월마다 수입이 다르더라도 생활비는 일정하게 쓰는 것이 안정의 열쇠입니다. 예를 들어, 작년 1년간 평균 수입이 300만 원이라면 생활비는 200만 원으로 고정하세요. 남는 수입은 유보하거나 투자에 활용하면 됩니다. 수입에 따라 지출을 늘리는 습관은 자산을 절대 만들 수 없는 구조입니다.

 

4. 부가가치세와 종합소득세 전략

자영업자는 매출에 따라 부가세와 종합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이를 대비해 아래 전략을 추천합니다:

  • 부가세 적립: 월 매출의 10% 별도 계좌에 적립
  • 경비 인정 확보: 카드 지출, 장비 구매는 사업용 계좌로 통일
  • 세무사 컨설팅 또는 간편장부 앱 활용

정기적인 세무 관리는 지출을 줄이고 리스크를 낮추는 최고의 투자입니다.

 

5. 프리랜서/자영업자도 연금 준비는 필수

국민연금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개인형 IRP와 연금저축계좌를 통해 노후 자산을 직접 설계해야 합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효과도 있어 연말정산 환급금도 기대할 수 있죠. 매달 30만 원씩만 연금에 넣어도 10년 뒤 수천만 원 자산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결론 – 시스템이 나를 지켜준다

프리랜서와 자영업자의 가장 큰 무기는 '자유'입니다. 하지만 그 자유를 지키려면 규칙 있는 돈 관리 시스템이 필수입니다. 수입의 불규칙함을 탓하기보다, 지금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보세요. 불확실한 수입 속에서도 자산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금융 문맹에서 벗어나는 돈의 기초 개념을 정리합니다.